Thoughts2013. 11. 12. 18:01





 "21세기 중국이 세계를 주도할 것인가"란 주제로 토론을 진행해 큰 주목을 받았던 뭉크 토론회(Munk Debate)에서 회원들에게 반가운 연락을 해왔다. 다가오는 11월 15일 저녁 7시부터 8시 반, 그러니까 한국 시간으로 11월 16일 오후 5시부터 6시 반까지 새로운 토론을 진행한다. 이번 토론 주제는 "The End of Men"(남자의 종말)에 관한 것이다. 회원들은 유·무료 회원여부를 불문하고 무료 인터넷 중계를 볼 수 있다. 회원에게 발신되는 전용메일에 첨부된 링크를 통해 이메일 주소를 등록하면 생중계 이전에 회원에게 이메일로 생중계 채널 정보를 알려줄 것이다. (※메일이 전송된 시기는 16일 오전8시경이었다. 미국시간은 도대체 알아먹을 수가 없다. _-;;;)


 이날 패널로는 "The End of Men"을 저작한 Hanna Rosin과 뉴욕타임즈 칼럼니스트 Maureen Dowd가 현대사회 전반에 걸친 남성의 권력과 위상의 감소에 대해 이야기 할 것이다. 반대 패널로는 How to be a Woman의 저자 Caitlin Moran과 Foreign Policy와 Prospect로부터 "세계 100대 지식인"중 하나로 손꼽히는 Camille Paglia교수가 참여한다. 

 토론을 시청하기 전에 TED에서 Hanna Rosin이 자신의 저서와 같은 제목으로 강연을 한 영상을 시청하는 것도 좋겠다. Subtitle을 한국어로 설정해놓으면 한국어 자막이 나오므로 편하게 볼 수 있다. 



[출처] http://hannarosin.com/hannas-ted-talk-on-the-end-of-men/



반대 패널로 참여하는 Caitlin Moran의 영상은 없지만 그의 개인 홈페이지가 있으므로 간략히 참고해 볼 만 하다. 


http://www.caitlinmoran.co.uk/index.php/category/blog/



토론은 아마도 여성 위상의 상승, 그리고 남성의 자리를 대체하는 여성들에 대한 이야기와 남성들의 상대적 박탈에 대해 격론이 오고 갈 것이다. 단순히 생각해봐도 우먼파워가 상당히 강해지긴 했지만 그게 남성의 종언을 선언할 만큼 현저한 것인지 언뜻 느낌은 잘 오지 않는다. 적어도 구조적 변화에 있어서는 동의할 수 있긴 하겠지만 말이다. 


남자로서 다소간 섬뜩하게 느껴지는 주제이긴 하지만 현대사회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의 역할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 



Posted by Cybercat
Thoughts2013. 8. 26. 01:50

 Munk Debates의 "Will the 21st Century Belong to China?"(중국이 21세기를 지배할 것인가?)라는 토론. EBS에서 특집방송으로 해줬는데 정말 괜찮은 토론이었다. 




토론 가운데 가장 인상적이었던 파리드 자카리아와 니일 퍼커슨의

중국이 아프리카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격론.

100분토론 같았으면 말싸움이 될만했는데도 여유있게 농담으로 받아치고 넘어간다.
이날 방송을 보면서 여러 면에서 한국은 토론문화에 있어서는 

여전히 후진국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동북아시아 국제정세라면 도가 튼 한 사람인 헨리 키신저의 첫 토론발표.

느릿느릿하지만 가장 인상적인 발표였다. 특히 인구문제에 대한 그의 지적과

중국 성장에 대한 서구국가들의 준비에 대해 지적했을 때는 소름이 돋을 정도.




자카리아는 경제, 정치, 지정학적인 문제에 대해 중국은 제대로 준비되어있지 않다고 지적한다.





칭화대 리 교수의 발언과 키신저의 반박 발언.
거듭해서 중국은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며 이 발전의 정도는 과거 미국, 일본이 경험했던 것과는

차원이 다를 것이라고 역설한다. 그러나 키신저는 이 대목에서 격감하는 중국의 인구문제가 

현재의 중국 발전의 발목을 잡게 될 것이라고 지적한다. 이는 이미 일본과 한국이 경험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이기도 하다.



식사하느라 제대로 못들었던 퍼거슨 교수의 발언.

중국이 21세기를 지배할 것이라며 인구통계학과 경제학적 관점에서 자신의 의견을 전개한다.



 흔히 오늘날의 중국 이야기를 하면 중국이 경제패권을 쥐고 세계를 좌지우지할 것이라는 단순한 의견을 주고 받게 된다. 하지만 이 토론을 보고 나면, 중국의 경제적 성장으로 인해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라는 막연한 상상이나 장밋빛 환상이 핵심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전 미국 국무부장관이었던 헨리 키신저의 발언이었다.정확하게는 기억이 나진 않지만 대강 정리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세계 제일을 향해 나아가는 중국이 앞으로 산적한 문제(중산층의 성장과 민주화 요구, 빈부격차, 인구격감, 인접국가와의 평화체제 구축)들을 해결해 나갈수 있을 것인가.
 2. 그 해결 과정에서 서구중심의 국제체제에 어떻게 편입이 될 것인가.
 3. 서구국가들은 이 문제에 대해 준비가 되어있는가. 



 이 과정에서 칭하대 리 교수가 한 말이 좀 웃겼다. 중국이 경제적 패권뿐만이 아니라 군사적 패권 또한 노리지 않겠느냐는 객석의 질문에 대해 (내가 기억하는 바로는) "중국은 다른 국가들과의 조화를 꾀한다. 절대 군사적 패권이나 헤게모니를 지향하지 않는다. 중국은 조화를 말하는 유교적 정신으로 움직이는 나라다. 중국에 대해 이야기 할 때 유교적 마인드로 보면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했다. 21세기를 지배하는 국가가 될거라는건지 아니라는 건지 혼돈이 가는 대목이다. 



 중국의 역사를 기억하는 사람이라면, 그리고 그 유교적 마인드를 가진 국가가 주변 약소국에 여전히 하고 있는 만행, 특히 서북소수민족과 티벳 탄압, 그리고 여전히 강력한 검열정책을 아는 사람이라면 리 교수가 한 말이 얼마나 큰 궤변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자카리아는 이 부분을 정확하게 지적하고 넘어간다. 

 

  영국 제국, 그리고 오늘날의 미국의 사례를 봤을 때, 단순히 경제적 대국이 되는 것만으로는 세계를 지배하는 국가라는 칭호를 달 수는 없는 것 같다. 영국 제국의 경우에는 식민지확장을 통해 강압적으로 지배하는 방향이었다. 2차대전이후 국제체제는 UN에 의해 상징적/현실적으로 통제되는 평화지향적인 체제다. 그 가운데 미국이 헤게모니를 "사실상" 잡고 있는 것은 20세기에 경제대국의 지위를 차지함과 동시에 2차대전과 냉전으로 인해 급격히 증강된 군비를 대체로 세계경찰의 역할로 사용하고 있다는 도덕적 측면에도 큰 비중이 있다고 생각한다. 비록 아랍과 공산국가로부터는 대놓고 지지를 받지는 못하지만 미국이 통제권을 쥐고 있는 한 큰 전쟁은 발발하지 않고 대체로 평화는 지속될 것이라는 안정감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이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을까? 바로 옆 나라이긴 하지만 중국군이 그렇게 할 것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국제정치에서 '평화'를 유지하고 또한 평화체제를 유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지배적 위치에 있는 국가가 하나인 경우에는 평화체제유지가 손쉽고, 이 구도가 제2강에 의해 깨지는 순간부터 세계는 혼란에 빠져든다. 현재 미국이 1강이라면 2강은 중국인 것이 자명한 현실인 만큼 리 교수가 말한 것처럼 중국이 미국에 덤비지만 않는다면, 그리고 평화적 체제를 유지하는데 중국이 '협조'를 한다면 사실 중국이 21세기를 지배하니 뭐니 하는 것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오히려 이런 토론이 생기는 이유는 중국이 충분히 현재의 평화를 깰 수 있는 요소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근거로 가장 크게 지목되는 것은 여전히 공산국가라는 점이다. 리 교수에 의하면 '내부적으로는 많이 민주적이다'라고 한다. 하지만 키신저의 말대로 여전히 중국은 공산당 1당지배체제인데다 10년에 한 번 꼴로 지도자가 바뀌는 국가에서 정치적 개선의 여지는 빠른 시일내에는 기대하기 힘들다. 


 다른 한 편에서 일본은 어떠한가에 대해 생각을 해봤다. 사실 서구열강, 특히 미국은 지난 세기에 비해서는 많이 약해졌긴 하지만 세계정치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다. 그리고 그런 미국의 전폭적 지원 가운데 20세기에 엄청난 경제성장을 이룩한 일본은 왜 세계패권을 쥘 수 없었는가. 애초에 평화헌법이라는 군사적 패권을 쥘 수 없는 상황을 만들어 놨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 경제적 부흥을 외치고 과거의 영광을 되찾자고 하는 일본의 정치현황과 자민당의 헌법개정시도가 맞물리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 세계는 중국만 쳐다보고 있을게 아니라 일본의 급격한 변화 또한 주목해둬야 할 것이다. 


 사람들은 평화를 사랑한다고 외친다. 하지만 그 평화를 지키기 위해 가져야 할 것이 너무나도 많다. 그 모든 것을 가지려고 한다면 동북아시아의 평화는 깨지고 말 것이다. 주변국과의 외교적 마찰이 없도록 노력하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평화를 어떻게 하면 더욱 항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한-미-중-소-일 5국에 있어 필요하다. 


 시간이 많이 지나서 토론의 세부적인 부분은 자세하게 적지 못할 것 같다. 어쨌거나 정말 흥미로운 토론이었다. 이 짧은 토론을 위해 이 네 명의 패널들이 얼마나 성실하게 준비를 해왔는지는 영상을 보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영상은 유료가입자에게만 공개되고 있다. 대신에 토론 전문이 http://www.munkdebates.com/debates/china 에서 제공된다. 물론 무료회원으로 가입을 해야 한다. 






Posted by Cybercat